-
[GoLee] Daily Scrum # 27스미싱 프로젝트/데일리 스크럼 2020. 6. 8. 14:20반응형
[GoLee] Daily Scrum #27
한 일 :
> 고 준성 :
... 이건 내가 이해하고 있는데 물어보지 ㅠㅠ
slack 에 있는 다른 github 소스들을 보면, 오래되었거나, 이해가 안되거나, 다른 언어인 경우가 많았습니다.
서버에 적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python 언어인 것중에 골랐고,
https://github.com/stirtcanada/smishing
stirtcanada/smishing
Smishing is a python script that send SMS using Phishing Frenzy framework - stirtcanada/smishing
github.com
main 부분만 가져왔는데 위 stirtcanada/smishing 같은경우는 detect 보다는 smishing을 보내는데에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.
dataset 을 구성하고 그 dataset 대로 전송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는데,
여기서 dataset 을 활용하는 부분쪽 코드를 공부 후 적용시키면 될 것 같습니다.
https://github.com/raishahnawaz/Smishing/blob/master/SrcCode/SmishingMain.py
raishahnawaz/Smishing
SMS Fraud Detection using ML approaches (Text Similarity measures, clustering,classification) with Spark Feature Transformers, nltk and MLib - raishahnawaz/Smishing
github.com
이 코드도 마찬가지입니다. Detect 기능을 하고 있는데, 머신러닝을 이용한 부분이 제겐 어렵긴하지만
조금 더 코드 분석을 해봐야할 필요가 있습니다. 머신러닝 시간이 걸리지만 구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이 역시 dataset이 필요할 거 같습니다.
지금 현재 프로젝트 진행도가 GSB 이용해서 링크를 판별하는 기능을 구현을 했다면,
앞으로 해야할 내용 고민을 좀 해봤습니다.
1. 링크가 apk 다운로드로 이어지는가. (사용자 동의 없이 다운로드 및 실행(설치)의 기능을 수행하는가) 판별.
2. URL는 문제가 없는거 같은데.. URL 클릭 후 접속 시 다른 사이트로 redirecting 되는지 판별.
3. 스팸 필터링. (이 스팸 필터를 할 수 있는 dataset 구하기 어렵지 않을 거 같은데..)
스팸 필터링 정도는 해주는 dataset 또는 그런 api 등이 존재할거같은데 검색해보도록하겠습니다.
일단 이정도 1~3 정도의 기능도 해줘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.
> 이 재현 :
서브 프래그먼트 (SMS 리시버 ) 구현
1) SMS 수신권한 받아오기 (Intro)
2) SMS Recvier 구현
정상적으로 메시지를 받아오는걸 확인 할 수 있음
3) SMS recvier 화면 구성 리싸이클러뷰 로 기본 메신저형식으로 화면 을 구성하는 중
리싸이클러 뷰 어뎁터 설정 간에 데이터를 받아오지 못하는 이슈 발생 (해결가능)
할 일 :
> 고 준성 :
1 ) dataset? 스팸 및 악성 분석을 위한 data를 구할수 있는지 조사를 좀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https://www.data.go.kr/index.do
공공데이터 포털
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『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(제11956호)』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•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(Datase
www.data.go.kr
https://www.kaggle.com/datasets
Find Open Datasets and Machine Learning Projects | Kaggle
Download Open Datasets on 1000s of Projects + Share Projects on One Platform. Explore Popular Topics Like Government, Sports, Medicine, Fintech, Food, More. Flexible Data Ingestion.
www.kaggle.com
2) KISA 에서 제공하는 악성앱 분석 글이 있어서 읽어보고자 합니다.
연구보고서 < KISA Library < 자료실 : 한국인터넷진흥원
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상세보기 제목 악성앱 분석 등록일 2014-12-31 보고서번호 KISA-WP-2014-0033 첨부파일 악성앱_분석.hwp 목 차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과제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 목표 및 내
www.kisa.or.kr
3) 어제 재현이가 문의했던 이슈대로, 문서화? 시켜서 수정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. (같이 회의 합시다! to 재현. )
> 이 재현 :
1) 리싸이클러 뷰 어뎁터 설정 간에 데이터를 받아오지 못하는 이슈 해결
2) 구성한 뷰 에 SMS를 받는 순서대로 차례대로 뿌려줄 예정 .
이 슈 :N/A
반응형'스미싱 프로젝트 > 데일리 스크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oLee] Daily Scrum #26 (1) 2020.06.08 [GoLee] Daily Scrum #25 (0) 2020.06.03 [GoLee] Daily Scrum #24 (0) 2020.06.02 [GoLee] Daily Scrum #23 (2) 2020.06.02 [GoLee] Daily Scrum #22 (0) 2020.06.01